개요쓰기는 글의 품질과 관련성이 있을까?
- 연구 목적 및 필요성 : 글쓰기를 사전 계획하는 단계에서 작성하는 개요가 텍스트 품질과 어떤 상관관계를 갖는가
- 계획하기는 글쓰기 능력과 결과를 실질적으로 높일 수 있는 작문의 핵심적인 과정이다.
- 결론 : 필자의 능숙도, 장르에 따라 융통성있게 적용하면 좋다.
- 능숙도
- 미숙한 필자가 인지적 고부담을 느끼는 상황에서 글을 쓸 때 어떠한 형태로든 사전 계획하기는 가장 큰 효과를 낸다.
- 일관되고 통일성있는 글쓰기 과제 자체가 인지적 부담을 준다. 따라서 작업 기억에 도움을 주는 개요쓰기가 없으면 아이디어 생성은 커녕, 글막힘 현상을 쉽게 호소할 수 있다.
- 이미 글을 잘 학생이라면, 조직 개요가 더 효과적이다.
- 문장개요 또는 메모개요를 작성한 학생은 단순히 자신이 아는 지식을 나열하는 지식-전술 전략과 개요에 썼던 내용을 답에 그대로 옮기는 데 그쳤다.(지식-전술 전략)
- 텍스트의 의미를 구조적으로 만들 수 있어야 글을 좀 더 잘 이해할 수 있다. 쓰기에서도 조직화된 구조를 창안해야 의미를 더 잘 생성할 수 있다(지식-변형 전략).
- 미숙한 필자가 인지적 고부담을 느끼는 상황에서 글을 쓸 때 어떠한 형태로든 사전 계획하기는 가장 큰 효과를 낸다.
- 장르
- 서사적 장르(창의적이고 발전적인 글쓰기)는 개요쓰기는 효과가 없거나 부정적일 수 있다. 따라서 사전 계획을 하지 않는 게 더 좋을 수 있다.
- 매우 복잡한 인지적 노력을 들여야 해서 복잡하고 정교한 지식-변형 전략이 필요한 논증적 장르에서 개요쓰기는 효과를 나타냈다.
- 능숙도
- 계획하기 방식 정의
- piolat(2006)의 방법
- 메모 초안(Note draft) : 미조직된 메모, 단어, 문장, 비선형적 형태의 각종 계획
- 조직 초안(Organized draft) : 목록화, 넘버링, 화살표, 인덱싱 등 선형적인 계획
- 구성된 초안(Composed draft) : 실제 완성된 글과 유사한 표현으로 작성된 명확한 계획
- Piolat(1994)의 방법
- 아웃라인 초안(Outline)
- 그래픽 초안(Graphic) : 도표나 차트로 작성하며 박스, 화살표, 동그라미 같은 비언어적 표식을 동반한다.
- 자유형식의 초안(Freeform) : 아웃라인 초안이나 그래픽 초안와 같은 방식이 아닌메모 또는 문장으로 자유롭게 작성한 초안
- Kellogg(1988)의 방법
- 아웃라인(outline) : 로마자를 사용해 주요 생각에 위계적 질서를 부여하는 방식
- Kellogg(1990)
- 다듬어지지 않은 초안(Rough) : 생각을 표현하는방식보다는 생각을 얻는 데 집중하는 방식
- 다듬어진 초안(Polished) : 생각 얻기와 생각을 표현하는 방식에도 집중한 방식
- piolat(2006)의 방법
- 이론적 배경
- Bartkett의 스키마 이론
- 개요 작성은 짜임새를 갖춘 글과 질서정연한 의미 구성 체계를 창안하는 데 기여한다.
- 필자는 자신만의 스키마를 동원해 글의 구조를 재조직-변형-연결해야 글을 완전히 독해할 수 있다.
- 지식전술-지식변형 이론 : 조직 초안은 효과적인 지식 변형을 견인해 텍스트 질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.
- Breiter와 Scadamalia(1987)
- 지식-전술 전략
- 자기가 알고 있는 내용과 지식을 단순히 많이 나열하는 전략을 의미한다.
- 다만 이미 알고 있는 지식만 활용해 글을 쓰기에 새로운 지식을 생성하거나 지식을 개선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.
- 지식-변형 전략
- 내용과 수사 사이 지속적인 상호 작용에 의해 필자의 지식 변형을 강조한다.
- 지식-전술 전략
- Piolat(1996)
- 낮은 등급을 받은 에세이
- 계획하기에서 작성한 내용을 그대로 옮겨쓰는 전략을 주로 구사했다.
- 높은 등급을 받은 에세이
- 건설적인 계획하기 전략을 구현하며, 지식-변형 전략을 구사한다.
- 낮은 등급을 받은 에세이
- Breiter와 Scadamalia(1987)
- Bartkett의 스키마 이론
- 계획하기의 효과 실험
- 개요쓰기는 효과가 없다
- 글에 포함할 정보를 이미 알고 있을 때만 개요쓰기가 효과적이다. - Elbow(1981)
- 계획하기가 텍스트 질을 높인 게 아니라, 인지적 노력이 필요한 ‘시간’에 배분한 덕분이다.
- Breetvelte&van den Bergh&Rijlaarsdam(1994)
- 아울러 전문 필자에게는 용이할지는 몰라도, 숙련도가 낮은 필자에게는 적용하기가 어렵다.
- 계획하기가 텍스트 질을 높인 게 아니라, 인지적 노력이 필요한 ‘시간’에 배분한 덕분이다.
- 새로운 지식 증가를 제한할 수 있다. - Galbraith(1999)
- 아이디어 생산은 계획하기 단계에서뿐만 아니라, 전체 글쓰기 과정에도 연결돼 있다. 그래서 계획된 상태에서의 글쓰기는 지식 증가와 관련성이 없다.
- 반면, 개요를 짜는 등 계획하지 않고 글을 썼을 때 더 많은 지식의 증가가 일어난다.
- 사실상 개요쓰기와 본격적인 원고쓰기(Drafting)는 동일한 ‘쓰기’이지만, 초고쓰기는 아이디어 생성에 그리 중요한 역할을 하지 못한다. 오히려 본격적인 글쓰기에서 좀 더 창의적이고 새로운 아이디어가 많이 생성된다.
- Torrance, Thomas&Robinson(1996)
- 다만 이 주장은 비판받을 여지가 있다. ‘지식의 증가’와 ‘새로운 지식의 발견’의 규정이 모호해서다.
- 글에 포함할 정보를 이미 알고 있을 때만 개요쓰기가 효과적이다. - Elbow(1981)
- 개요쓰기는 효과가 있다
- 더 많은 분량의, 더 높은 질의 글을 생산하는 데 도움이 된다.
- Glynn, Brotoon, Muth&Dogan(1981)
- 완성된 형태의 세련된 문장을 쓸수록 초고에 담는 양이 적고, 조직화된 메모를 쓸수록 글의 양이 많았다.
- Kellogg(1988, 1990)
- 개요작성한 실험 집단이 더 많은 분량의, 더 높은 질의 글을 써냈다.
- Carey et al.(1989)
- 초기 계획의 양과 최종 텍스트의 질, 그리고 초기 계획의 질과 최종 텍스트의 질 사이에 모두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다.
- 수사적 계획(독자, 글의 목적)을 세운 필자가 질적으로 우수한 텍스트를 생산하는 경향을 보였다.
- Jennie Nelson(1992)
- 써야 할 글의 분량이 많고 복잡하면서도 특정 주제의 글쓰기를 수행하는 상황에서는 광범위하고 밀도있는 계획하기가 텍스트 질에 영향을 미쳤다.
- Glynn, Brotoon, Muth&Dogan(1981)
- 개요작성이 작가가 텍스트 생산에만 집중하도록 도와준다고 보았다.
- Kellogg(1988) : 인지적 제약 이론
- 계획하기를 외부에 저장하면 작업기억(working memory)이 다른 작업을 처리하도록 여유를 줄 수 있다. 즉, 개요쓰기는 인지적 과부하를 줄여주며 정교한 글쓰기에 좀 더 몰두할 수 있도록 해준다.
- 긴 글일수록 글로 쓴 개요(written draft)가 머릿속에서 구상한 개요(mental draft)보다 더 유의미한 효과를 드러낼 거라 예측했다.
- Kellogg(1988) : 인지적 제약 이론
- 특히 얼개짜기가 효과가 좋다.
- Piolat(1996)
- 메모 개요(Memo)나 구성된 개요(Composed)보다 조직개요(organized)를 작성했을 때 텍스트의 질이 높았다.
- Piolat(1999)
- 얼개짜기는 그래픽 초안과 자유형식 초안보다 쓰기의 질을 높이는 데 일조했다.
- Chai(2006)
- 조직적이고 구조적인 쓰기 계획을 가진 에세이가 더 높은 에세이 등급을 받은 실험 결과를 얻었다.
- Piolat(1996)
- 더 많은 분량의, 더 높은 질의 글을 생산하는 데 도움이 된다.
- 장르에 따라 다른 계획하기 방식
- 텍스트에 따른 쓰기 전략 - Olive(2011)
- 서사적 텍스트는 장기기억에서 텍스트를 바로 만들어내는 지식전술전략을 사용한다.
- 논쟁적인 텍스트는 수사적인 전략에 부합하도록 복잡하고 정교한 지식변형 전략을 사용해야 한다.
- 계획하기는 논쟁적 텍스트의 높은 질을 보장해주는 핵심 역할이다.
- Matsuhashi(1981)
- 자기표현글은 연대기 순으로 생각을 만들어내기에 추상적 수준의 변화가 적다.
- 설득적인 글은 추상성이 높고 정보 재조직 요구가 빈번해 더 많은 휴지 시간(pausing time)을 요구하며 이는 더 많은 계획하기 시간을 필요로 한다.
- 텍스트에 따른 쓰기 전략 - Olive(2011)
- 개요쓰기는 효과가 없다
이예준. “계획하기와 텍스트 질의 상관관계 연구. 국내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, 2016. 서울